묵필을 축여주시면 싫답니까? / 문채 이정화 시집 (전자책)
묵필을 축여주시면 싫답니까?
문채 이정화 시집 (전자책) / 한국문학방송 刊
안녕하세요?
무더운 삼복(三伏)더위도 차츰 기운을 잃어 초가을로 입문을 준비할 때인 것 같습니다.
시간이 지나고, 세월이 가고, 기술이 발달하고, 그래도 변할 수 없는 것은 사랑인 것 같습니다.
세상이 바뀌고 삶이 다르지만, 어느 것 단(單) 하나도 사랑 아니면 이룰 수가 없듯이 얼마나 소중(所重)한 것입니까? 저자는 감히 생각합니다.
사랑도 갖가지로 많아서, 갖가지로 사랑해야 하는 시대입니다. 왜냐면 더불어 살아가야 하는 시대 환경에 도래(到來)해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사람의 마음을 다스리고 어떠한 일을 행(行)할 때 모두가 사랑이 근본(根本)입니다. 그중 이성 간의 사랑을 모토(Motto)로 하였습니다.
이 도서의 메시지(Message)는 진정한 사랑이란? 서로를 아끼며, 간절하고 애절한 마음을 호소하는 것. 예나 지금이나 늘 그립고 안타까워하며 아쉬움의 시간을 거듭나 더 아름다움으로 빛나는 참으로 미묘(微妙)한 것.
아무리 그리워해도 끝내 운명적으로 영원히 만날 수 없는 비극(悲劇)의 사랑. 그 사랑이 더더욱 빛나고 훌륭한 사랑으로 남듯이 이 도서(圖書)는 자본주의 시대를 맞으며 경제적 해갈을 위해 헤어짐의 안타까운 사랑이 어언 평생의 세월을 잃고 젊음을 놓쳐버린 늦은 재회(再會)를 펼친 저서입니다.
늘그막에 다시 만나, 지난 시절을 참회(懺悔)하며, 못다 한 사랑을 이루기 위해 다시는 그 어리석고 무모(無謀)한 행위를 하지 않겠다고 다짐하며, 꽃 이름으로 그 시절의 계절을 표현하였습니다.
또한, 일인이역을 주도하며, 애절하고 간절한 사랑을 이어가기 위해 저자는 이성(異姓)을 넘나들며 어렵게 시나리오(Scenario)를 연출하였습니다.
또한 치매 걸린 노부부의 이야기는 멀지 않은 우리 이웃들의 이야기입니다. 살펴보시고 많은 공감(共感)을 바랍니다.
그리고 힘든 세상에 독자님들의 더 행복한 부부애(夫婦愛)를 느끼며 살아가기를 진심으로 저자는 기원(祈願)하며, 또한 모든 가정에 윤택(潤澤)한 삶을 이루 시길 바랍니다.
― 책머리글 <시인의 말>
- 차 례 -
시인의 말
1. 단시 / 사랑
2. 단시 / 첫 새벽
3. 합성(合成) / 사그랑이 애(愛)
4. 합성(合成) / 행복한 인생 5. 합성(合成) 시조 / 노세노세 살아 노세
6. 합성(合成) / 해후비애(邂逅悲愛)
아내 7 / 묵필(墨筆)을 축여주시면 싫답니까?
남편 7-1 / 너만 홀로 울었으리?
8. 단시 / 기도
아내 9 / 외줄을 타고 있지 뭐랍니까
남편 9-1 / 왜? 아니 가겠소
아내 10 / 참새 떼가 울었지요
남편 10-1 / 꽃처럼 만발한 임자의 모습이
아내 11 / 더 먼저 오시구려
남편 11-1 / 가다가다 못 가도 또 가리다
합성 11-2 / 피질 말고 멈추어다오
단시 12 / 넌 어때?
아내 13 / 꽃잎이 하나둘 떨어지구려
남편 13-1 / 난 저 하늘에 달을 따서 가리다
아내 14 / 당신이 오실 길에
남편 14-1 / 곧 출발하리라
단시 15 / 윤슬
아내 16 / 저물기 전에 오소서
남편 16-1 / 눈물이 세상을 덮을 것이외다
아내 17 / 축제(祝祭)의 향연(饗宴)
남편 17-1 / 꽃향기보다 더 그윽하외다
단시 18 / 가슴앓이
아내 19 / 이 한밤이 지새도록
남편 19-1 / 춤추는 홀씨
아내 20 / 단 하루도 의심치 마오
남편 20-1 / 임자 나를 반기구려
아내 21 / 저녁을 올리리다
남편 21-1 / 석삼년을 굶어도 이제는
단시 22 / 미소
아내 23 / 계절마다 울었소
남편 23-1 / 호식(好食)을 시키려다
아내 24 / 절대 가질 마소서
남편 24-1 / 어찌 하늘인들 모른다고 하리
단시 25 / 위로
아내 26 / 어찌 그런 일을 하셨는지요?
남편 26-1 / 무엇이 다 필요하리까
아내 27 / 간밤 꿈에
남편 27-1 / 들어 보시구려
단시 28 / 사랑
아내 29 / 벚꽃 소리를 들었답니다
남편 29-1 / 춤을 멈추지 않으리라
아내 30 / 영감! 소리가 들리고 있소
남편 30-1 / 임자의 모습이
단시 31 / 까닭
아내 32 / 축제의 시간
남편 32-1 / 더불어 살 것이외다
아내 33 / 넘치고 넘치겠습니다
남편 33-1 / 본연(本然)의 행수(行修)를 찾아
단시 34 / 산(山) 단풍
아내 35 / 우리를 위해 있는 것들
남편 35-1 / 알토란 사랑이로구나
아내 36 / 노목(老木)
남편 36-1 / 정말 좋겠우외다
아내 37 / 청국장 냄새에 다 낳아보시구려
남편 37-1 / 목석인들 흔들리지 않을까?
아내 38 / 꽃피는 영혼(靈魂)
남편 38-1 / 그대 하나 올차게 있다 하외다
단시 39 / 낙엽
아내 40 / 사랑은
남편 40-1 / 산다는 게 별것이 아니오
아내 41 / 너만 홀로 울었으리?
남편 41-1 / 여명의 이슬처럼
합성 42 / 노부부(老夫婦) 이야기 <연작4편>
산(山) 메아리
공허(空虛)한 동행(同行) (1)
공허(空虛)한 동행(同行) (2)
공허(空虛)한 동행(同行) (3)
공허(空虛)한 동행(同行) (4)
[2019.10.10 발행. 121쪽. 정가 5천원(전자책)]
※ 이 책은 콘텐츠몰.com 에서 바로 구매 및 열람이 가능합니다. 콘텐츠몰 바로가기(클릭)
◑ 전자책 미리보기(클릭)